아구스틴 바리오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구스틴 바리오스는 파라과이 출신의 기타 연주자이자 작곡가로, 20세기 초 클래식 기타 음악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는 파라과이 민속 음악과 낭만주의 음악을 결합한 독창적인 작품들을 남겼으며, 'La Catedral'과 같은 걸작을 통해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다. 바리오스는 뛰어난 연주 실력과 함께 'Nitsuga Mangoré'라는 가명을 사용하며 활동했으며, 1944년 엘살바도르에서 심장병으로 사망했다. 그의 작품은 현재까지도 많은 기타리스트들에게 연주되며, 영화로 제작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아구스틴 바리오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아구스틴 피오 바리오스 페레이라 |
출생 | 1885년 5월 5일 |
출생지 | 산 후안 바우티스타, 파라과이 |
사망 | 1944년 8월 7일 |
사망지 | 산살바도르, 엘살바도르 |
국적 | 파라과이 |
직업 | 기타 연주자, 작곡가, 시인 |
악기 | 클래식 기타 |
활동 기간 | 해당 정보 없음 |
별칭 | 아구스틴 바리오스 망고레 |
2. 생애
아구스틴 바리오스는 파라과이의 산후안 바우티스타에서 태어난 것으로 알려져 왔으나,[2] 최근 연구에 따르면 실제 출생지는 북쪽으로 30km 떨어진 미시오네스의 빌라 플로리다라는 주장이 제기되었다.[3] 그는 어린 시절부터 스페인어와 과라니어를 구사했고, 영어, 프랑스어, 독일어를 읽을 수 있을 정도로 음악과 문학에 대한 애정을 키웠다.
10대 초반부터 기타에 관심을 보이기 시작하여 1898년 구스타보 소사 에스칼라다에게 클래식 기타를 배우기 시작했다. 소사 에스칼라다의 영향을 받아 솔, 아구아도, 비나스, 타레가의 작품을 연구하고 연주했다. 1901년 15세의 나이로 아순시온으로 가서 장학금을 받아 아순시온 국립 대학교 음악부에 입학하여 파라과이 역사상 최연소 대학생 중 한 명이 되었다.
1906년 대학을 졸업한 후, 바리오스는 아순시온에서 본격적인 연주 활동을 시작했다.[4] 1910년에는 아르헨티나와 우루과이에서도 종종 연주했으며, 1916년에는 브라질로 건너가 15년 정도 생활하며 에이토르 빌라로부스를 감탄하게 했다. 1931년 브라질을 떠나 여러 나라를 전전했으며, 베네수엘라 공연에서는 흥행주의 요청에 따라 파라과이 전통 민족 의상을 입고 무대에 오르기도 했다. 수년간 "니츠가 망고레(''Nitsuga Mangoré'')"라는 가명을 사용했는데, ''Nitsuga''는 ''Agustin''을 거꾸로 쓴 것이며, ''Mangoré''는 과라니족의 혈통을 자랑스럽게 여겨 붙인 이름이다. 1934년부터 1936년에는 유럽을 방문하여 명성을 얻었고, 만년에는 엘살바도르 음악원에서 기타과 교수를 역임했다.
Agustín Barrioses는 1944년 심장병으로 엘살바도르에서 사망했으며, 산살바도르의 로스 이유스트레스 묘지에 안장되었다.[7] 향년 59세였다.
바리오스는 생전에 공식적으로 제자를 가르치는 것을 꺼렸지만, 엘살바도르에서 12명의 학생들에게 기타 작곡 및 연주 지침을 제공했다. 이들은 "망고레아노스"로 알려져 있으며, 그 목록은 아래와 같다.[3]
이름 | 사망 |
---|---|
루이스 마리오 사마요아 | 1969년 |
벤하민 시스네로스 | 1987년 |
루벤 우르킬라 | 1993년 |
르네 코르테스-안드리노 | 1995년 |
마리오 카르도나 라소 | 1999년 |
헤수스 키로아 | 2001년 |
호세 칸디도 모랄레스 | 2002년 |
훌리오 코르테스-안드리노 | 2006년 |
세실리오 오레야나 | 2007년 |
로베르토 브라카몬테스 | 2007년 |
빅토르 우루티아 | 2010년 |
엘레나 발디비에소 | 미상 |
2. 1. 출생과 어린 시절
아구스틴 바리오스는 파라과이의 산후안 바우티스타에서 태어난 것으로 알려져 왔으나,[2] 최근 연구에 따르면 실제 출생지는 북쪽으로 30km 떨어진 테비쿠아리 강변의 미시오네스, 빌라 플로리다라는 주장이 제기되었다.[3] 2019년에 발견된 바리오스의 외교 문서에는 출생지를 "미시오네스" [sic]로 기재하고 있다.어린 시절 바리오스는 음악과 문학에 대한 애정을 키웠는데, 이 두 가지는 그의 가족에게 매우 중요한 예술이었다. 바리오스는 스페인어와 과라니어를 구사했고, 영어, 프랑스어, 독일어를 읽을 수 있었다.
바리오스는 10대 초반부터 악기, 특히 기타에 관심을 보이기 시작했다. 1898년에 구스타보 소사 에스칼라다에 의해 공식적으로 클래식 기타 음악에 눈을 뜨게 되었다. 그 무렵 바리오스는 이미 몇 곡의 기타 곡을 작곡했으며, 옛 스승 아리아스가 작곡한 《La Chinita》와 《La Perezosa》와 같은 곡도 연주했다. 새로운 스승 소사 에스칼라다의 영향을 받아 솔, 아구아도, 비나스, 타레가의 작품을 연구하고 연주하게 되었다. 소사 에스칼라다는 이 새로운 제자에게 감명을 받아 바리오스의 부모에게 아들을 아순시온으로 보내 음악 교육을 계속 받게 하라고 설득했다.
1901년 15세의 나이로 아순시온으로 가서 장학금을 받아 아순시온 국립 대학교 음악부에 다니며, 파라과이 역사상 최연소 대학생 중 한 명이 되었다. 대학교에서 음악 학습 외에도, 수학, 저널리즘, 문학 분야에서도 교원으로부터 칭찬을 받았다.
2. 2. 음악 활동
1906년, 21세의 나이로 대학을 졸업한 후, 바리오스는 수도 아순시온에서 본격적인 연주 활동을 시작했으며, 이후 음악 활동과 시 창작에 평생을 바쳤다.[4] 실연과 녹음을 통해 경이적인 연주력으로 명성을 떨쳤다. 1910년에는 아르헨티나와 우루과이에서도 종종 연주했으며, 1916년에는 브라질로 건너가 이 곳에서 15년 정도 생활하며 에이토르 빌라로부스를 감탄하게 했다.1931년 브라질을 떠나 여러 나라를 전전하게 되었고, 같은 해 베네수엘라 공연에서는 흥행주의 요청에 따라 새 깃털로 머리를 장식하고 파라과이 전통 민족 의상을 입고 무대에 올랐다. 수년간 "니츠가 망고레(''Nitsuga Mangoré'')"라는 가명을 사용하기도 했는데, ''Nitsuga''는 ''Agustin''을 거꾸로 쓴 것이며, ''Mangoré''는 파라과이에 있었던 전설적인 대추장의 이름으로, 과라니족의 혈통을 자랑스럽게 여겼기 때문이다.
1934년부터 1936년에는 유럽을 방문하여 명성을 얻었다. 만년에는 중미의 엘살바도르 음악원에서 기타과 교수를 역임했다.
2. 3. 사망
Agustín Barrioses는 1944년 심장병으로 엘살바도르에서 사망했으며, 산살바도르의 로스 이유스트레스 묘지에 안장되었다.[7] 향년 59세였다. 과거 전기에는 그가 두 번째 심근 경색으로 사망했다고 주장했지만, 법의학 의사는 그의 죽음이 독살일 가능성이 더 높다고 주장했다.[7] 당시 바리오스의 아내는 이탈리아 커피 농장주 파스콸레 코사렐리와 공공연한 관계를 맺고 있었고, 코사렐리 또한 바리오스의 집에 거주하고 있었다. 코사렐리는 곧 바리오스의 미망인과 결혼할 예정이었고, 살인을 저지를 동기와 화학 물질을 모두 가지고 있었다고 한다. 바리오스는 일 년 중 가장 더운 주간에 그의 제자들이 어깨에 메고 세멘테리오 데 로스 일루스트레스에 묻혔다. 그의 죽음 몇 시간 후, 그의 손으로 쓴 악보와 스크랩북이 그의 제자들에게 도난당했다.2. 4. "망고레아노스" (제자)
바리오스는 생전에 공식적으로 제자를 가르치는 것을 꺼렸지만, 엘살바도르에서 12명의 학생들에게 기타 작곡 및 연주 지침을 제공했다. 이들은 "망고레아노스"로 알려져 있다.[3]이름 | 사망 |
---|---|
루이스 마리오 사마요아 | 1969년 사망 |
벤하민 시스네로스 | 1987년 사망 |
루벤 우르킬라 | 1993년 사망 |
르네 코르테스-안드리노 | 1995년 사망 |
마리오 카르도나 라소 | 1999년 사망 |
헤수스 키로아 | 2001년 사망 |
호세 칸디도 모랄레스 | 2002년 사망 |
훌리오 코르테스-안드리노 | 2006년 사망 |
세실리오 오레야나 | 2007년 사망 |
로베르토 브라카몬테스 | 2007년 사망 |
빅토르 우루티아 | 2010년 사망 |
엘레나 발디비에소 | 미상 |
바리오스는 20세기의 음악가였지만, 그의 작품은 후기 낭만주의 음악의 특징을 보인다. 작품의 대부분은 중남미의 민속 음악에 영향을 받았다. 초절 기교를 요하는 작품도 매우 많다.
호세 칸디도 모랄레스와 로베르토 브라카몬테스는 바리오스 집에서 기숙하며 바리오스에게 배운 유일한 학생들이었다.[3]
바리오스가 사망한 후, 모랄레스는 바리오스의 유산, 기술, 후기 작품의 관리인이었다. 모랄레스는 사회 경제적 계층, 연령, 타고난 재능에 관계없이 수백 명을 가르쳤다. 모랄레스의 교육을 통해 바리오스의 주목할 만한 후계자로는 호르헤 알베르토 사나브리아 박사와 오스카 바비치가 있다.[3]
3. 작품 세계
바리오스의 작품은 국민악파, 파스티슈, 종교성의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15][16][17] 중미나 남미의 민요를 모방한 악곡을 창작함으로써 바리오스는 모국의 음악 전통과 민중에게 경의를 표했다. 바로크 음악이나 낭만주의 음악의 시대 양식과 작곡 기법을 모방하는 것은 바리오스의 장인 정신을 보여준다.
바흐에게 영감을 받아 작곡된 La Catedrales(1921년)은 바리오스의 종교적 체험에 영감을 받은 종교적인 악곡으로 분류할 수 있다. "마지막 트레몰로"라는 통칭으로 알려진 Una Limosna por el Amor de Dioses(신의 자비에 의지하여 자비를 베푸소서)는 신앙심에 영감을 받은 또 다른 예이다.[15][16][17]
3. 1. 특징
바리오스의 작품은 대체로 후기 낭만주의적 성격을 띠며, 남미 및 중앙아메리카 민속 음악의 영향을 받았다. 그의 작품 중 상당수는 기교적인 연주를 요구한다.[4]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에게 영감을 받은 1921년 작품 ''La Catedral''은 바리오스의 걸작으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안드레스 세고비아도 이 곡을 높이 평가했다.[5]
바리오스의 작품은 크게 민속적, 모방적, 종교적, 세 가지 범주로 나눌 수 있다.[15][16][17] 그는 폴카 파라과야와 왈츠를 포함한 파라과이 민속 음악에서 영향을 받았으며,[8] "Campamento Cerro León", "Londón Carapé", ''"Guyrá campana"'', "Mamá Cumandá"와 같은 파라과이 대중 음악을 연주하기도 했다.[9][10][11] 그는 민속적인 요소를 바탕으로 자신의 고향 음악과 사람들에게 경의를 표하는 작품을 작곡했다. 또한, 바로크와 낭만주의 시대의 작곡 스타일과 기법을 모방하는 데에도 능숙했다. 종교적인 작품으로는 ''신을 위한 자선'' 등이 있다.
3. 2. 주요 작품
La Catedrales(1921)은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에게서 영감을 받아 작곡되었으며, 안드레스 세고비아가 극찬한 걸작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5] "마지막 트레몰로"로 알려진 Una Limosna por el Amor de Dioses(신의 사랑을 위한 작은 자선)은 그의 종교적인 작품 중 가장 유명하다.
바리오스의 300곡이 넘는 작품과 편곡이 남아있으며, 그의 레퍼토리에 포함된 뛰어난 작품들은 다음과 같다.
제목 | 제목 | 제목 |
---|---|---|
아브리 라 푸에르타 미 치나 | 알레그로 심포니코 | D장조 바르카롤라 "훌리아 플로리다" (1938) |
아콘키하 (케나의 아리아) | 알타이르 | 비초 페오 |
삼바의 아리아 | 아 미 마드레 - 세레나데 | 힐란데라의 노래 |
파라과이 민속 아리아 | 아라베스크 | 카프리초 에스파뇰 |
안달루스 아리아 | 아메리카의 하모니 | 모음곡 "대성당" (전주곡—안단테 렐리지오소—알레그로 솔렘네) (1921) |
크리올 아리아 | 쇼로 다 사우다데 | |
무데하르 아리아 (단편) | 고백 (사랑의 고백) | |
수르 아리아 (단편) | 묵상 | |
코르도바 | ||
쿠에카 (칠레 댄스) | ||
D단조 댄스 | ||
과라니 댄스 | ||
파라과이 댄스 1번 | ||
파라과이 댄스 2번 '자, 체 바예' | ||
파라과이 댄스 (2중주 버전) | ||
디아나 과라니 | ||
디노라 | ||
바이올린 모방의 디바가시온 | ||
크리올 디바가시온 | ||
돈 페레즈 프레이레 | ||
인형의 꿈 | ||
스케일과 전주곡 | ||
우루과이 스타일 | ||
스타일 | ||
협주곡 연습곡 1번 A장조 | ||
협주곡 연습곡 2번 A장조 | ||
리가도 연습곡 A장조 | ||
리가도 연습곡 D단조 | ||
아르페지오 연습곡 | ||
시 단조 연습곡 (솔로와 2중주) | ||
솔 단조 연습곡 | ||
미완성 연습곡 | ||
연습곡 3번 | ||
연습곡 6번 | ||
양손을 위한 연습곡 | ||
왈츠 연습곡 | ||
파비니아나 | ||
옛날 스타일의 가보트 | ||
하바네라 | ||
유머레스크 | ||
나의 어머니에게 | ||
자, 체 바예 | ||
훌리아 플로리다 | ||
너의 마음 곁에 | ||
호타 | ||
라 바나니타 (탱고) | ||
라 사마리타나 | ||
라스 아베하스 | ||
에스파냐의 전설 | ||
과라니의 전설 | ||
신의 사랑을 위한 작은 자선 (또는 "마지막 트레몰로" 또는 "마지막 노래") | ||
런던 카라페 | ||
루스 말라 | ||
마벨리타 | ||
마드레시타 | ||
마드리갈 가보트 | ||
막시세 | ||
마주르카 아파시오나타 | ||
메달리온 안티구오 | ||
밀롱가 | ||
A장조 미뉴에트 | ||
A장조 미뉴에트 | ||
B장조 미뉴에트 | ||
C장조 미뉴에트 | ||
C단조 미뉴에트 | ||
E장조 미뉴에트 | ||
오라시온 (오라시온 데 라 타르데) | ||
모든 사람을 위한 기도 | ||
페피타 | ||
F장조 페리콘 | ||
G장조 페리콘 | ||
전주곡 작품 5번, 1번 | ||
E장조 전주곡 | ||
A단조 전주곡 | ||
C장조 전주곡 | ||
C단조 전주곡 | ||
D단조 전주곡 | ||
E단조 전주곡 | ||
첼로 모방의 로만자 (알범 페이지, 푸에고스 파투오스) | ||
사르젠토 카브랄 | ||
사리타 | ||
세레나데 모리스카 | ||
숲 속의 꿈 | ||
탱고 1번 | ||
탱고 2번 | ||
타란텔라 (나폴리의 추억) | ||
투아 이마젠 | ||
봄의 왈츠 | ||
왈츠 작품 8번, 1번 (너의 마음 곁에) | ||
왈츠 작품 8번, 2번 | ||
왈츠 작품 8번, 3번 | ||
왈츠 작품 8번, 4번 | ||
열대 왈츠 | ||
타레가의 주제에 의한 변주곡 | ||
푸엔토 구아나카스테코에 관한 변주곡 | ||
A단조 비달리타와 변주곡 | ||
D단조 비달리타 | ||
크리스마스 캐럴 | ||
자파테아도 카리베 (트리오) |
4. 평가 및 영향
바리오스는 생전에 뛰어난 연주 실력으로 명성을 얻었으며, 축음기 음반을 녹음한 최초의 클래식 기타리스트 중 한 명이었다. 1932년 베네수엘라 카라카스에서 그의 연주를 본 로페 테제라는 바리오스가 "작년에 런던에서 본 세고비아보다 뛰어나다"고 평했다.[4]
그의 작품은 20세기에 작곡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대체로 후기 낭만주의 음악적 성격을 띤다. 많은 작품이 남미 및 중앙아메리카 민속 음악을 각색하거나 영향을 받았다. 그중 많은 작품이 기교적이라고 여겨진다. 1921년에 작곡된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에게 영감을 받은 ''대성당''(La Catedral)은 바리오스의 걸작으로 널리 여겨지며, 세고비아도 "훌륭한 콘서트 곡"이라며 극찬했다.[5]
존 윌리엄스는 "바리오스는 기타리스트 겸 작곡가로서, 평판이 어떻든 간에, 최고 중 한 명이다. 그의 음악은 대부분 솜씨 있게 구성되었고, 대부분 시적이며, 대부분 어떤 종류의 미점을 포함하고 있다. 게다가 이 대부분은 시대를 초월한다고 볼 수 있다."라고 평가했다.
하지만 세고비아는 바리오스의 민속 음악적 요소를 경시하여 그의 작품을 과소평가했으며, 바리오스가 사후에 작곡가이자 연주가로서 비난받은 것도 "기타의 신"으로 여겨진 세고비아의 영향 때문이라는 주장도 제기된다.[18]
오늘날 바리오스는 클래식 기타 음악 역사상 가장 중요한 작곡가이자 연주자 중 한 명으로 재평가받고 있으며, 그의 작품은 전 세계 기타리스트들의 주요 레퍼토리로 연주되고 있다.
파라과이에서는 바리오스를 모든 시대를 통틀어 가장 위대한 음악가 중 한 명으로 존경하고 있다. 2015년에는 바리오스의 삶을 다룬 영화 "망고레"가 제작되었으며,[14] 일본에서는 『전설의 기타리스트 "망고레" 사랑과 예술의 끝에』라는 제목으로 2017년에 상영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Portal Guarani – Sila Godoy – Mangore – Vida y obra de Agustín Barrios – por Sila Godoy – Luis Szarán
http://www.portalgua[...]
2018-06-01
[2]
서적
Complete Works of Agustin Barrios Mangore for Guitar Vol. 1
https://books.google[...]
Mel Bay Publications
2011-02-24
[3]
간행물
Music and Identity in Paraguay: Expressing National, Racial and Class Identity in Guitar Music Culture
https://www.cambridg[...]
2022-05
[4]
문서
Cylinder Preservation and Digitization Project
http://cylinders.lib[...]
[5]
서적
Mangoré: vida y obra de Agustín Barrios
Editorial Don Bosco y Editorial Ñanduti
1994
[6]
웹사이트
Why did Segovia ignore the music of Agustin Barrios in his concerts?
https://web.archive.[...]
2016-08-31
[7]
서적
Six silver moonbeams : the life and times of Agustín Barrios Mangoré
http://worldcat.org/[...]
Querico Publications
[8]
웹사이트
Personalidad de Agustín Pío Barrios "Mangoré"
https://web.archive.[...]
[9]
웹사이트
Carlos Talavera
http://www.musicapar[...]
[10]
웹사이트
El Guyra Campana
http://www.musicapar[...]
[11]
웹사이트
Guyra Campana
http://www.musicapar[...]
[12]
Youtube
Violeta Rivas — Pájaro campana
https://www.youtube.[...]
[13]
웹사이트
Chanterelle Verlag, CHR102
https://www.chantere[...]
[14]
웹사이트
Hoy se estrena "Mangoré", la película más cara de Paraguay
http://www.lanacion.[...]
2018-06-01
[15]
문서
https://web.archive.[...]
[16]
웹사이트
アーカイブされたコピー
https://web.archive.[...]
2007-10-23
[17]
문서
http://blog.kansai.c[...]
[18]
문서
https://bclassic.se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